고전 한시 감상
화도연명의고(和陶淵明擬古) - 육선가(六羨歌)
qhrwk
2025. 7. 11. 07:01
※ 원대(元代) 화가 조원(趙元)의 <육우팽다도(陸羽烹茶圖)>
육선가(六羨歌)
不羨黃金? 不羨白玉杯
不羨朝入省 不羨暮登臺
千羨萬羨西江水 曾向竟陵城下來
(불선황금뢰 불선백옥배
불선조입성 불선모등대
천선만선서강수 증향경릉성하래)
황금 술통 부럽지 않고
백옥 술잔 부럽지 않네
젊어서 관직에 드는 것 부럽지 않고
늙어서 고관되는 것도 부럽지 않네
천번 만번 부러운 것은 서강의 물 따라
내 고향 경릉성으로 내려가는 것
☞ 육우(陸羽/棠), <육선가(六羨歌)> ≪다경(茶經)≫
- ?: 은(殷)나라 중기에서 주(周)나라 초기에 술잔이나 물그릇으로 쓰였던 것으로 추정되는
구리 그릇(銅器). 어깨 부분은 벌어지고 배 부분은 불룩하며 밑은 오므라진 항아리 모양을 하고 있다.
시대에 따라 모양이 여러 가지로 바뀌기도 했다.
※ 작가미상의 옛 중국화 <烹茶圖> 橫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