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사(般若寺)
대한불교 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의 말사이다.
720년(성덕왕 19) 의상의 제자인 상원이 창건했다고 한다. 1325년(충숙왕 12)에
중건했으며, 1464년(세조 10)에 왕의 허락을 받아 크게 중창한 뒤 세조가
대웅전에 참배했다고한다. .
이때 문수동자가 세조를 절 뒤쪽 계곡인 망경대 영천으로 인도해 목욕할
것을 권했고, 황홀한 기분으로 돌아온 세조가 어필을 하사했는데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현존 당우로는 대웅전·요사채 등이 있으며, 대웅전 안에는
탱화 6점이 봉안되어 있다.
이밖에 3층석탑·부도·목사자·청기와·법고·범종 등이 남아 있다.
석천이라는 개울이 상주방면에서 발원해 백화산을
가로질러 흐르는 개울가에 자리한 반야사는 문수보살이
주석하고 계신 곳이라고 합니다
반야사 현판이 걸린 2층 전각인데, 대웅전앞 경내에서 보면 1층이다.
아래층은 공양간으로 이용되고, 상층은 경내에서 보면
심검당이란 편액이 걸려 있는 종무소다.
우측 계단을 올라
음수대 앞을 지나 반야사 경내로 들어간다.
주불전인 대웅전을 중심으로, 왼쪽에 극락전, 오른쪽에 지장전,
왼쪽 뒷편으로 산신각이 자리하고있다. .
반야사 극락전은 원래 반야사의 대웅전으로 건립된 건물이었으나
1993년 현재의 대웅전을 새롭게 건립한 이후
극락전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반야사 극락전은 원래 반야사의 대웅전으로 건립된 건물이었으나
1993년 현재의 대웅전을 새롭게 건립한 이후
극락전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대웅전과 극락전 뒤편 언덕위에 있는 작은 건물
반야사의 산신각이다
범종에 새겨진 명문에 의하면 2000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범종각 역시 이 시기에 조성하였으며 사물에는 범종, 북, 목어, 운판이
있는데 반야사의 범종각에는 범종과 운판이 걸려있습니다.
반야사 북쪽의 석천계곡 탑 벌이라는 지역에서 성학스님이 1950년에
이곳으로 이건했다고 전합니다.
이 탑은 반야사의 극락전 앞에 500년 된 배롱나무옆에 있습니다.
삼층석탑옆에 수령 500년 된 배롱나무
반야사가 호랑이를 품고 있는 절이라는 말처럼, 너덜겅이 마치 호랑이 형상을 하고 있다.
꼬리를 치켜 세운 호랑이는 높이가 80m에, 몸통 길이가 300m에 달하는
거대한 형상이라고 한다.
반야사에는 옛부터 삼경(三景)이 있는데
'삼층석탑'과 '오백살 먹은 배롱나무'와 '긴 꼬리를 세운 호랑이'라고 한다
망경대 위에서면 세조가 목욕을 했다는 석천은 금강의 지류로
경북 상주 쪽에서 충북 영동으로 흐르는 강으로 황간에서
황간천과 만나고 다시 물한계곡에서 흘러온 추풍령천과
합류하여 금강본류로 흘러들어간다고 합니다.
'산사의 아름다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주군 관운사 (關雲寺) (0) | 2022.12.24 |
---|---|
도봉구 대한불교 조계종 천년고찰 도봉산 전법도량(도봉사) (0) | 2022.12.23 |
춘천시 칠전동 부흥사 (1) | 2022.12.17 |
주왕산의 단풍과 대한불교조계종 대전사 (0) | 2022.12.17 |
성남시 망경암 (0) | 2022.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