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평사(淸平寺)는 강원도 춘천시 북산면 청평리에 위치한다.
소양호를 지나면 빼어난 산수를 자랑하는 오봉산 품에 안겨 있는 청평사를 만날 수 있다.
일반인들에게는 고려정원(高麗庭園)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청평사는 973년(광종 24) 승현(承賢) 스님이 백암선원(白岩禪院)으로 창건하였고,
1068년(문종 2) 이의(李顗)가 중건, 보현원(普賢院)이라 하였다.
이의의 아들 이자현(李資玄)이 이곳으로 내려와 은거하자 도적이 없어지고 호랑이와 이리가 없어졌다고 하여
산 이름을 청평(淸平)이라 하고 사찰은 문수원(文殊院)으로 이름지어 중창하였다.
그 뒤 조선시대에 들어와 1550년(명종 5) 허응 보우(虛應普雨) 스님이 청평사로 바꾸었다.
청평사의 설화-공주와 상사뱀
문득 이 세상에서 가장 거룩한 옷인 가사를 만들고 싶다는 충동으로 아무도 없는 그 방으로 들어간
공주는 열심히 바느질을 했다.그리고는 황급히 뱀이 있는 곳으로 돌아갔다.
뱀이 다시 공주의 몸을 감으려 하는 순간, 갑자기 비바람이 몰아치면서
벼락이 떨어져 상사뱀이 새까맣게 태워 죽여 버렸다.
마침내 뱀으로부터 해방된 공주는 부왕에게 자초지정을 아뢰었고,
순제는 부처의 은덕에 감사하며 이 절에 공주탑을 세웠다고 한다.
아미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감로병이 얹힌 연꽃을 들고 있는 관음보살상과 대세지보살상이 있다.
아미타여래상은 오른손은 들고 왼손은 내린 이른바 시무외(施無畏)·여원인(與願印)을 하고 있다.
좌우 협시 보살상은 서로 모습이나 크기가 거의 같은데, 다만 왼쪽의 대세지 보살은 관음 보살과는 달리
손에 아무 것도 들지 않은 채 아미타여래좌상과 마찬가지로 시무외·여원인을 짓고 있다.
극락보전 불화
삼성각의 벽화 중 정면 왼쪽으로 호랑이가 그려져 있는데,
이는 산에 사는 영물인 호랑이를 산군으로 모시기 때문에
산신은 언제나 호랑이를 거느리는 것으로 표현되고 있다.
진락공 부도(眞樂公 浮屠)
환적당부도, 설화당부도(幻寂堂浮屠, - 浮屠)
경내에서 나와 청평산 등산로로 500m 가량 걸어 올라가면 오른쪽으로 2기의 부도가 있다.
이 부근은 예전에 해탈문이 있던 자리다. 여기에서 다시 10분 가량 더 오르면
오른쪽에 커다란 암벽이 있고, 그 위에 적멸보궁(寂滅寶宮)이 자리한다.
앞면 3칸, 옆면 1칸의 이 적멸보궁은 내부에 불상을 모시지 않았는데,
그것은 적멸보궁 뒤쪽에 있는 오층석탑이 있기 때문이다.오층석탑은 1979년에 세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