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학(三學)
불타의 교법을 바르게 알아 깨달음에 이르기 위해서는
반드시 닦아야 할 세 가지의 가르침이 바로 계·정·혜(戒·定·慧) 삼학이다.
삼학은 대장경의 수많은 가르침을 계·정·혜로 분류하여
공부하는 자에게 깨달음에 이르는 지름길을 제시해준 슬기로운 가르침이다.
해탈도론(解脫道論)에서는 “계·정·혜를 해탈도라 하니
계는 위의를 뜻하고 정은 어지럽지 않음을 뜻하며 혜는 알고 느낌을 뜻하고
해탈은 속박에서 벗어남을 뜻한다.
또 계는 나쁜 업을 제하며 혜는 번뇌의 때를 제한다.”고 가르치고 있다.
또 계학(戒學)·정학(定學)·혜학(慧學)은 각각의 수행이기보다는
계를 닦음으로써 정이 생기고, 정을 닦음으로써 혜가 생기고,
혜를 닦음으로써 깨달음에 이르게 된다.
① 계학(戒學) 계란 심신을 고르고 바르게 하는 것이며 심신에 대해
좋은 습관을 들이는 것이며,
또 그릇됨을 막고 나쁜 것을 고치는 것이 본래의 뜻이다.
계의 종류에는 지악계(止惡戒), 행선계(行善戒), 이타행(利他行)의 계가 있다.
우리가 흔히 계라고 말하는 재가자(在家者)의 오계, 팔재계와
출가자(出家者)의 비구 250계, 비구니 348계, 사미 십계는 지악계에 포함된다.
② 정학(定學) 정이란 마음을 한 곳에 머물게 하여
흩어지지 않게 하는 것인데 정을 얻기 위해서는
조신(調身)·조식(調息)·조심(調心), 즉 신체와 호흡과 마음을 잘 조정해야 한다.
정에는 2종이 있으니 나면서부터 마음을 한 곳에 머물러 두는
심작용이 있는 생득선정(生得禪定)과 수행하여 얻어지는
수득선정(修得禪定)이 있다.
③ 혜학(慧學) 선종의 최종적인 목적은 깨침의 지혜를 얻는 데 있다.
이 삼학과 육바라밀에서도 혜(慧)가 맨 마지막에 자리하고 있으며
실천적으로 진실한 도리를 있는 그대로 꿰뚫어 보는 것을 말한다.
능(能)과 소(所), 자(自)와 타(他)의 대립을 무마시키려는
청정세간지(淸淨世間智)를 지(智)하 하며
출세간무이지(出世間無二智)를 지혜(반야)라고 한다.
'불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승[大乘] 과 소승[小乘] (0) | 2024.11.15 |
---|---|
사중의 뜻 (0) | 2024.11.14 |
염불하는 열 가지 마음(念佛十種心) (0) | 2024.11.14 |
팔정도(八正道) (0) | 2024.11.14 |
오관게(五觀偈)란? (0) | 2024.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