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1강 화엄학의 범주와 사상 개요
1. 화엄학의 범주
화엄사상을 담고 있는《화엄경》은 한국불교의 수행과 신앙형태에 크나큰 영향을
끼친 대표적인 경이다. 불교의식에도 화엄사상이 무르녹아 있다.
특히 한국선의 이해는 화엄사상의 공부 없이는 완전하지 못할 정도이다.
지금도《화엄경》은 불교전문강원인 승가대학에서 이력과정의 마지막 대교과에서
배우는 과목이다.
아무튼 불교, 특히 한국불교에서 차지하는《화엄경》의 위상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아니하리라 본다.
'화엄사상의 세계'에서 앞으로 다루게 될 화엄학의 범주는 대강 다섯 분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화엄사상은《화엄경》의 중심사상이다.
《화엄경》에서는 우리 존재를 어떻게 파악하며 우리로 하여금 어떻게 살도록 교설하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따라서 첫째로《화엄경》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하겠다.
둘째는《화엄경》을 소의로 하여 체계화한 화엄종의 화엄사상이다.
그 가운데서도 중국 화엄종을 대성시킨 현수법장(643~712)의 화엄사상이 그 대표적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리고 그 전후로 영향을 받고 준 화엄가들의 화엄사상이 있다.
셋째는 한국화엄사상이다.
한국화엄사상은 의상(625~702)과 의상의 뒤를 이은 의상계 화엄이 그 주류를 이루고 있다.
넷째는 화엄교사(華嚴敎史) 부분이다.
《화엄경》이 편찬․유통되며 화엄종과 화엄사상이 형성되어간 역사적인 점도 살펴야 할 것이다.
끝으로 화엄에 의하여 수학하고 증득해 가는 수증론(修證論) 부분도 빠뜨릴 수 없을 것이다.
이론과 실천은 뗄 수 없는 관계 속에 있으니 사상 속에 수행과 증득의 면이 함께 들어 있다.
따라서 본 '화엄사상의 세계' 강의에서는《화엄경》을 개설하고, 화엄교사를 약설하며, 중국과
한국의 화엄사상을 고찰함과 동시에 수증의 방편을 살펴나가게 될 것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화엄경》과 화엄사상에 대부분의 시간을 할애할 예정이다.
이에 기존의 연구업적에 의거하여 몇 가지 측면에서 화엄사상의 개요를 먼저 소개해 두고, 앞으로
그러한 화엄사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볼까 한다.
'불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제2강 화엄경의 편찬과 유통 (0) | 2025.02.12 |
---|---|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제1강 화엄학의 범주와 사상 개요 (0) | 2025.02.12 |
깨달음에 대한 환상 (0) | 2025.02.10 |
9. 이 몸 이 때 못 건지면 (0) | 2025.02.10 |
8. 깨치기 전은 참 수행이 아니다. (0)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