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송(北宋) 화가 이공린(李公麟)의 <商山四皓> 수권(手卷)
하환처빈고(何患處貧苦)
四皓潛南岳 老萊竄河濱
顔回樂陋巷 許由安賤貧
伯夷餓首陽 天下歸其仁
何患處貧苦 但當守明眞
(사호잠남악 노래찬하빈
안회낙루항 허유안천빈
백이아수양 천하귀기인
하환처빈고 단당수명진)
상산사호(商山四皓)는 남산에 몸을 감췄고
노래자(老萊子)는 바닷가로 달아나 숨었네
안회(顔回)는 초라한 곳에 살면서도 즐거워하였고
허유(許由)는 지위가 낮고 가난했어도 편안히 여겼으며
백이(伯夷)는 수양산에서 굶어죽었으니
천하는 모두 어짊으로 돌아가는 것이네
어찌 가난하고 힘들다고 걱정하리
그저 공명하고 진실함을 힘써 지킬 뿐
☞ 완우(阮瑀), <시(詩)>
- 완우(阮瑀)는 위진(魏晋)시대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인 완적(玩籍)의 부친.
- 竄: ㉠숨다 ㉡달아나다 ㉢숨기다 ㉣내치다 ㉤고치다 ㉥들여놓다 ㉦훈하다
※ 작가미상의 옛 중국화 <은사도(隱士圖)>
※ 청대(淸代) 화가 손인(孫寅)의 <심산은사도(深山隱士圖)>
※ 청대(淸代) 화가 황신(黃愼)의 <화산은사도(華山隱士圖)> (1759年作)
※ 명대(明代) 화가 사시신(謝時臣)의 <深山隱士圖>
'고전 한시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도연명의고(和陶淵明擬古) - 누실명(陋室銘 (3) | 2025.06.30 |
---|---|
화도연명의고(和陶淵明擬古) - 귀은시(歸隱詩) (2) | 2025.06.30 |
화도연명의고(和陶淵明擬古) - 진삼국사기표(進三國史記表) (1) | 2025.06.30 |
화도연명의고(和陶淵明擬古) - 몰치불우(沒齒不憂) (2) | 2025.06.30 |
화도연명의고(和陶淵明擬古) - 월야(月夜) (0) | 2025.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