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5 30

육자대명왕 진언에 관하여

♣ 육자대명왕 진언에 관하여 ♣옴마니 반메훔 육자대명왕 진언은 우리 불자들이 잘 외는 진언입니다.듣건데 티벳트나 라마 교도들도 이 진언을 외운다고 들었습니다. 우리와 같은 뜻으로 외우는지 궁금합니다염불수행의 뜻이 동서나 사람에 따라 근본적 차이가 있을 리 없습니다. 다만 지역이나 사람에 따라 중점을달리하는 차이가 있는 정도겠지요.라마교도들이 육자주를 외우는 것은 극락세계에 가서 나기를 기원하는 뜻이 근본이고 또한 이 진언을 외우면 복덕과 지혜와 모든 행이 밝아지는 근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이 점은 우리와 별 차이가 없는 것이지요.그래서 입으로 외고 몸에 지니고 집에 간직하며 또는 경통에다 써서 넣고 진언을 외우면서 빙글빙글 돌리기도 합니다. 이것을 마니륜이라고 하는데 티벳불교를 소개한 사진에서 종종 보..

불교공부 2025.07.05

반야(般若)’라는 말은

반야(般若)’라는 말은범어로 ‘프라즈냐(Prajna)’ 라고 하며,팔리 어로는 ‘판냐(panna)’라고 합니다.반야는 바로 팔리 어 ‘판냐’의 음역어로서,마하와 같이 그 발음만 따서 옮긴 또 다른 예입니다.이 또한 ‘마하’에서와 같이,반야라는 의미를 중국말로 옮기기에 적당한 단어가 없었으므로,그 의미가 퇴색됨을 우려해 따로 번역하지 않고‘반야’라고 쓰고 있는 것입니다.그렇다면, ‘반야’ 또한우리 범부의 사량(思量)으로 이해하기가 쉽지 않은 단어일 것입니다.반야를 굳이 번역한다면 ‘지혜(智慧)’라고 옮길 수 있습니다.그러나, 우리가 생각하는 단순한 지혜가 아니라,‘최고의 지혜, 즉 깨달음에 이르신 부처님의 밝은 지혜’를 의미합니다.그러니, 부처가 아닌 범부중생으로서어찌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단어이겠습니까?..

불교공부 2025.07.05

부처님이 갖추신 다섯가지 눈

♣부처님이 갖추신 다섯가지 눈♣오안(五眼) :육안(肉眼),천안(天眼),혜안(慧眼),법안(法眼),불안(佛眼)의 다섯가지 눈①육안(肉眼) : 오안(五眼)의 하나중생으로 표현되는 인간의 육신에 갖추어져 있는 감각적 눈을 말한다.육안은 사물의 형태나 빛깔을 구별하고 그것들을 어떤 한계안에서만 볼 수 있으며, 가까운 것을 보면 먼 것을 못 보고, 앞을 보면 뒤를 못 보고, 밖을 보면 안을 못 보고, 밝은 것을 볼 수 있으되 어두운 곳의 사물을 볼 수 없는, 즉 종이 한장만 가려도 사물을 바로 보지 못 하는 한계를 지닌 눈이다.②천안(天眼) : 오안(五眼)의 하나천상세계(天趣)에 태어나거나 또는 이 세상에서 선정(禪定)을 닦아 얻는 눈으로서,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미세한 사물이나 먼 곳에 있는 것까지도 널리 살펴..

불교공부 2025.07.05

10여시(十如是)

10여시(十如是)법화경〈방편품〉에 나오는 말로 만물은여시상(如是相)·여시성(如是性)·여시력(如是力)·여시작(如是作)·여시인(如是因)·여시연(如是緣)·여시과(如是果)·여시보(如是報)·여시본말구경(如是本末究竟)의10가지 방법으로 존재하고 생성된다고 하는 이론입니다.곧 우주 만물 하나하나는외적 형상과 내면의 본성, 사물의 주체, 잠재된 힘과 작용,구조, 직접적인 원인과 결과,간접적 원인과 결과, 궁극의 경지를 한꺼번에 지니고 있다는 것입니다.불교의 세계관은 지옥과 아귀·축생·아수라·인간·하늘의 육도에성문·독각·보살의 삼승,그리고 부처를 더하여 십계라 합니다.이들 세계는 다시 십계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총 100계가 되고,100계는 각각 십여시를 지니므로 세계는 총 1000계가 됩니다.이 천여시는 다시 3종의 세..

불교공부 2025.07.05

제 9 장 칭불 명호품

♣ 제 9 장 칭불 명호품 ♣ 1 : 그 때에 지장보살 마하살이 부처님께 아뢰기를, "세존이시여 저는 지금 미래 세계의 중생을 위하여 이익 되는 일을 연설하여 생사 중에서 큰 이익을 얻게 하고자 합니다. 다만 원 하옵건대 세존이시여 저의 말씀을 들어 주십시오." 부처님께서 지장보살에게 이르시기를 "너는 지금 자비심을 내어 육도 에서 죄지음의 고통을 받는 일체의 중생을 구원하 고자 부사의한 일을 말하려고 하느냐 그러면 지금이 바로 그 때이니 속히 말하여라 내 곧 열반(涅槃)에 들어갈 것이니 너로 하여금 이 원을 일찍이 마치게 된다면 내 또한 현재와 미래의 일체 중생으로 하여금 근심함이 없을 것이다.2 : 지장보살이 부처님께 아뢰기를 ..

불교공부 2025.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