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송(南宋) 화가 이당(李唐)의 <채미도(采薇圖)> 수권(手卷)
천도시비(天道是非)
或曰 '天道無親 常與善人'
若伯夷叔齊 可謂善人者非邪 積仁潔行 如此而餓死
且七十子之徒 仲尼獨薦顔淵爲好學
然回也屢空 糟糠不厭 而卒蚤夭
天之報施善人 其何如哉
盜? 日殺不辜 肝人之肉 暴戾恣雎
聚黨數千人 橫行天下 竟以壽終 是遵何德哉
此其尤大彰明較著者也
若至近世 操行不軌 專犯忌諱 而終身逸樂 富厚累世不絶
或擇地而蹈之 時然後出言 行不由徑
非公正不發憤 而遇禍災者 不可勝數也
余甚惑焉 ?所謂天道 是邪非邪
(혹왈 '천도무친 상여선인'
약백이숙제 가위선인자비야 적인결행 여차이아사
차칠십자지도 중니독천안연위호학
연회야루공 조강불염 이졸조요
천지보시선인 기하여재
도척일살불고 간인지육 폭려자휴
취당수천인 횡행천하 경이수종
시존하덕재 차기우대창명교저자야
약지근세 조행불궤 전범기휘
이종신일락 부후루세부절
혹택지이답지 시연후출언 행불유경
비공정불발분 이우화재자 불가승수야
여심혹언 당소위천도 시야비야)
누군가 말한다.
"하늘의 도는 사사로이 친함이 없으며 늘 착한 사람과 함께 한다"고
저 백이·숙제와 같은 사람은 착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는가, 없는가?
어진 덕을 쌓고 고결한 행실이 이러한데도 굶어 죽었다.
공자는 칠십 제자 가운데 안연만이 학문을 좋아하는 사람이라고 추켜세웠다.
그러나 그는 자주 굶었고 지게미나 겨조차도 싫어하지 않았지만 끝내 일찍 죽고 말았다.
하늘이 착한 사람에게 보답하여 베푸는 것이 어떤 것이란 말인가?
도척은 날마다 무고한 사람을 죽이고 사람의 살을 회쳐먹고 포악방자하였으며,
무리 수천 명을 모아 천하를 멋대로 누볐으나 끝내 천수를 다하고 죽었다.
이것은 무슨 도덕을 따른 것인가? 이러한 것들은 명백하고 두드러진 것이다.
근세에 이르러서는 행동이 정도를 벗어나고 오로지 금지된 일만을 저지르고서도
평생 편안하고 즐거이 살면서 부유함이 후세에까지 끊어지지 않는다.
어떤 사람은 땅을 골라서 밟고 때에 맞추어 말하고 지름길로 걷지 않으며,
공명정대한 일이 아니면 떨쳐 일어나지 않는데도 재앙과 화를 당하는 사람이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나는 몹시 헷갈린다. 이른바 하늘의 도라는 것은 옳은가 그른가?
☞ 사마천(司馬遷/西漢), ≪사기(史記)≫ <백이열전(伯夷列傳)> 중에서
- 사마천은 ≪사기(史記)≫를 편찬하면서 <백이열전(伯夷列傳)>을 맨 앞에 두었다.
위의 글은 그 중 한 대목이다.
여기서 눈길을 끄는 것은 이른바 천도(天道)라는 것이 옳으냐
그르냐(是也非也)하는 원초적인 의문이다.
이는 ≪사기≫의 전편을 관통하며 바탕에 깔려있는 화두(話頭)이기도 하다.
- 蚤夭: 일찍 죽음. 요절(夭折)함.
- 不辜: 무고(無辜)
- 雎: 깜짝 놀라 눈을 휘둥그렇게 뜨고 봄. 성을 내어 사납게 눈을 크게 뜸.
- 彰明較著: 명백하고 뚜렷함(彰明昭著).
- ?: ㉠빼어나다 ㉡갑자기 ㉢만일 ㉣분명하지 않은 모양 ㉤멋대로
※ 남송(南宋)시대의 화가 이당(李唐)의 <채미도(采薇圖)>.
백이(伯夷)와 숙제(叔齊)가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뜯은 고사(故事)를 주제로 그린 그림이다.
현대 중국화의 대가 서비홍(徐悲鴻)은 이 그림을 레오나르도다빈치의 예수상과
견주면서 중국 회화사의 최고봉이라고 극찬한 바 있다.
'고전 한시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도연명의고(和陶淵明擬古) - 선인야적도(仙人夜笛圖) (0) | 2025.07.03 |
---|---|
화도연명의고(和陶淵明擬古) - 풍계야봉사경(風溪夜逢士敬 (0) | 2025.07.03 |
화도연명의고(和陶淵明擬古) - 독락팔곡(獨樂八曲) (0) | 2025.07.02 |
화도연명의고(和陶淵明擬古) - 어가자(漁歌子) (1) | 2025.07.02 |
화도연명의고(和陶淵明擬古) - 누실명(陋室銘 (3) | 2025.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