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도연명의고(和陶淵明擬古) - 월야(月夜)
※ 근현대 중국화가 도냉월(陶冷月)의 월야(月夜) 今夜?州月 閨中只獨看금야부주월 규중지독간 오늘 밤 부주(?州)의 달을규중의 아내만 홀로 보고 있으리遙憐小兒女 未解憶長安요련소아녀 미해억장안멀리 있는 가엾은 어린 아이들은장안의 나를 그리는 어미 마음 알지도 못하리香霧雲?濕 淸輝玉臂寒향무운환습 청휘옥비한향기로운 안개 구름같은 머리 결을 적시고맑은 달빛에 옥같이 고운 팔 차갑겠소何時倚虛幌 雙照淚痕乾하시의허황 쌍조누흔건어느 때 얇은 휘장 창가에 기대어달빛에 양 볼 흐르는 눈물자국 지울까☞ 두보(杜甫), - ?州: 지명- 雲?: 여인의 쪽지어 감아올린 머리채. 고대에는 운(雲)으로 숱이 많고 검은 여인의머리를 형용하였다. 운환(雲?), 운빈(雲?), 운계(雲?) 등의 표현은 ≪시경(詩經)≫ '군자해로(君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