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의 아름다움

속리산 법주사 정경

qhrwk 2022. 12. 11. 07:22

고찰은 절도 절이지만 들어가는 숲길이 절 만큼이나 마음에 듭니다.
절로 들어가기 전에 오른쪽으로 못보던 부도가 보여서 자세히 살펴보니 불국사에 조실로 계시던 월산스님의 부도로군요. 전에 모셔졌던 탄성스님의 부도와 같이 한 구역을 이루었네요. 뒤에 보이는 것이 부도비 입니다.
절로 건너가는 냇가에는 자신의 소망을 비는 마음으로 쌓아 놓은 작은 탑들이 많이 보입니다.
현판을 먼저 살피고 들어 갑니다. 속리산 대법주사 라고 되어 있군요.
법주사로 들어가는 다리에서 바라본 속리산입니다.
산문에는 호서제일가람이라고 써져 있군요. 호서라는 말은 이견이 있기는 합니다만,제천의 의림지 서쪽을 가르키는 말이지요. 현재는 충청도 지역을 가르키는 말로 쓰이고 있습니다.가람이라는 말은 상가람마에서 나온 말로 스님들이 모여서 수행하는 곳이라는 뜻입니다. 제일 먼저 살펴본 현판은 이 산문의 안쪽에 걸려 있습니다. 좀 특이하지요.
전통사찰에서도 금강문은 찾아 보기가 어려운 곳이 되었습니다. 대부분이 천왕문만을 모시고 있지요.법주사 금강문에는 두분의 금강 외에도 문수, 보현보살상도 사자와 코끼리를 타고 계시더군요.
청동미륵대불 모습 법주사의 주인 어르신인 미륵부처님 입니다.가장 늦게 모셔 졌어도 과거의 전통을 이어서 중심의 역할을 하고 계시지요.
팔상전 모습
쌍사자 석등
사천왕의 발 아래 밟혀 있는 이 녀석이 들고 있는 것의 정체는 과연 무엇일까요. 떡인가? 곳감인가요?왜 들고 있는 것인지? 혹시 도둑질해 가다가 들켜서 이렇게...
법주사 철확은 과연 밥이 제대로 될 까 의실스럽지요. 모양이 솥을 닮았다고 무조건 솥이라고 하는 것은 좀 그런것 같아요. 좀 더 연구가 필요하지 않을까 하네요.
현존하는 유일한 전통 목탑, 바로 팔상전입니다. 쌍봉사 대웅전은 화재로 소실 되어서 새로이만들었느니 말입니다. 총수에 따라서 급격히 체감이 되도록 된 부분은 전란이후 어려운여건에서 만들다 보니 이렇게 된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원래 목탑은 아래 위 층이 이렇게 급격하게 줄어 들지 않습니다. 일본의 목탑이나 중국 혹은우리나라의 진천 보탑사 탑을 보면은 알 수가 있지요. 그러한 탑이 전형적인목탑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요사이 절에 가보면 대웅전 앞으로 항아리 같은 것을 늘어 놓고 그곳에 연꽃을 키우는 경우가 많지요.그런데 그런 생각을 예전 분들도 하신 것 같아요.이렇게 훌륭한 작품이 남아 있는 것을 보면 말입니다.자체로만 가지고도 부처님께 올리는 멋진 연꽃이잖아요.
추래암 마애불상입니다. 우리나라에는 의자에 앉는 모습인 이런 의상은아주 보기가 어렵지요. 동남아 쪽에는 이런 의상이 많이 있습니다.아마도 우리나라가 온돌을 하고 방바닥에 앉다 보니 그런 가 봅니다.그래서 그런지 의자에 앉은 듯한 모습이 많이 어색해 보지요. 허리가 너무나 잘룩하게 표현 되어 신체비례가 잘 맞지 않고,귀는 굉장히 크게 늘어졌으며, 눈은 눈꼬리가 위로 치켜진 은행모양이고,코가 길고 삼도가 뚜렸한 모습은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입니다.
그래도 얼굴의 온화한 모습이나 입술이 입술의 도툼한 표현은 세련된 기술을 보여주고 있으며,연꽃잎은 특히 생생하게 피어 오르는 듯한 생동감까지 느끼게 하는군요. 이 마애불이 새겨진 바위는 추래암이라고 불리우는데 옛 사람들이 크게 각자로 생겨 놓았습니다. 추래암의 옆으로는 부도전이 있고, 가운데 금오선사의 부도가 보입니다.금오선사님은 앞에서 본 월산, 탄성 스님의 스승님이 되시며 또 월하, 월주스님들도 모두 제자가 됩니다. 금오스님 때만 하더라도 부도의 크기가 이 정도 였는데, 요사이는 글쎄요...부도도 크기로 경쟁하는 시대가 온 것인가요, 아니면 너무나 큰 스님들이 세상에 가득한 것인가요.
추래암의 옆으로는 부도전이 있고, 가운데 금오선사의 부도가 보입니다.금오선사님은 앞에서 본 월산, 탄성 스님의 스승님이 되시며 또 월하, 월주스님들도 모두 제자가 됩니다. 금오스님 때만 하더라도 부도의 크기가 이 정도 였는데, 요사이는 글쎄요...부도도 크기로 경쟁하는 시대가 온 것인가요, 아니면 너무나 큰 스님들이 세상에 가득한 것인가요.
팔상전의 처마 아래 부분에는 멋진 용들이이 살고 있군요.다른 곳에서는 이렇게 용이 전체의 모습으로 표현 된 것을 보지는 못한 것 같아요.
팔상전에는 중앙 심주를 중심으로 사방에 부처님을 모시고,뒷면에 탱화를 각 방향 2폭씩해서 석가모니 부처님의 일생을 표현한 팔상도를 모셨습니다.좌측에는 마치 사랑합니다라고 표현하고 있는 것 같으지요.법당안에서 이런 모습을 보니까 또 새롭네요.
흔히 와불이라고 불리우는 열반상 중에서 제가 본 중 가장 작은 열반상이 아닌가 하네요.보통 와불은 큼직하니 해서들 모시잖아요.뒤에는 초전법륜상과 쌍림열반상이 모셔져 있군요.
미륵대불 지하에 조성된 법당에는 미륵보살상을 모시고 있군요.로 된 기둥들은 석굴암 전실의 기둥을 모방한 거 같네요.
벽에는 하생하신 미륵보살께서 성불하셔서 용화삼회를 통해 중생을구제하는 모습이 조각되어 있습니다. 부조 중의 한 장면인 용화수아래에서 성불하시는 장면입니다.
법주사의 옛 현판이 전시실에 보존되고 있네요.유명 절의 현판을 많이 제작했던 해강 김규진의 글씨와 죽농 안순환의 대나무 난초 합작품입니다.
예전에는 향로를 이고 있는 모습으로 생각해서 약왕보살의 전신인 희견보살상으로생각을 해 왔었는데, 요사이 허균선생님이 새로운 주장을 하셨습니다.바로 팔상전의 석가모니불과 미륵불 사이를 이어 주는 가섭존자로 본 것이지요.석가모니 부처님의 의발을 미륵부처님께 전하기 위하여 머리위에 네모난 가사와그 위에 발우를 이고 있는 것으로 보는 견해 입니다.

희견보살이 나타나야 할 타당한 이유가 없다는 점에서, 법주사가 대웅보전과

산호전(미륵불을 모셨던 전각)의 두 중심축이 교차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고 보면

가섭존자로 보는 것이 옳지 않나 싶군요.

그렇다면은 이 가섭존자상의 위치도 자연스럽게 조정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네요.

 

관음전의 옆 쪽에 모여져 있는 석물들, 부처님을 모셨던 좌대 처럼 보이기도 하네요.
관세음보살을 모신 원통보전은 사모지붕으로 되어 있습니다.다른 절에 가봐도 원통보전이 사모지붕인 경우가 많은데 특별한 이유가 있느지는 잘 모르겠군요.
대웅전 앞에 서있는 사천왕석등입니다.늘씬하면서도 균형이 잘 잡혀있어 아주 단정한 모습입니다.화창에는 못을 박고 창틀을 달았던 흔적도 보이지요.
법주사의 본전인 대웅보전입니다.원체 미륵부처님 사찰로이 강하게 인상지워져 있어서 상대적으로 좀 소외된 듯한 느낌이 드는 군요.
계단 면석에 새겨진 태극무늬와 연꽃무늬입니다. 연잎과 꽃의 형식을 약간만다르게 표현했는데도 새롭게 느껴지지요. 너무 정형적인 무늬도 질리잖아요.
지금은 미륵대불 아래 전시실에 있는 이 원숭이상은 원래 대웅전 계단 위에 있던 것입니다.현재는 새로이 만든 원숭이상이 자리를 지키고 있지요.인도신화에 보면 비슈누의 화신 중에 하나가 원숭이왕입니다.이 신화가 중국에 와서는 손오공으로 된 것이 아닌가 합니다. 의신조사께서 흰말에다가 불경을 싣고 와서 이곳에 법이 머물게 되었다는뜻으로 법주사라고 했다는 창건설화를 볼 때 삼장법사와 손오공의 이야기를 떠올릴 법도 하지요.
중국에 처음으로 불교가 절래 되던 때에 백마에 불상과 경전을 싣고 와서절을 창건해 이름을 백마사라고 했다라는 중국 불교 전래 설화가 생각 나기도 하고요.사진은 낙양 백마사 앞에 서 있는 석상입니다.
나오는 길에 다리 옆에 있는 나무를 보다가 이렇게 오래된 나무의 썩은 부분에서종류가 다른 나무가 자라는 것을 보았습니다. 이 두나무는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같이 합쳐질 수가 없지요. 작은 나무가 큰 나무의 양분을 다 빨아 먹는 기생나무가 되는 것입니다.

'산사의 아름다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봉제일문 도봉산 광륜사  (0) 2022.12.11
무량사(부여)  (0) 2022.12.11
여수 향일암  (0) 2022.12.11
월출산 도갑사와 천황사  (0) 2022.12.11
설악산 신흥사  (0) 2022.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