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유(법정)

◈말과 침묵◈죽음에 대해서/강물은 흘러서 바다로

qhrwk 2022. 1. 27. 08:53

강물은 흘러서 바다로

                                            

즐거움을 구하는 자는 슬픔과 욕심과 걱정을 버려라. 번뇌의 화살을 뽑으라

     

부처님이 어떤 사문沙門(출가 수행자)에게 물었다.

"사람의 목숨이 얼마 동안에 있느냐?"

"며칠 사이에 있습니다."

"너는 아직 도를 모른다>"

다른 사문에게 물었다.

"사람의 목숨이 얼마 동안에 있느냐?"

"밥 먹는 사이에 있습니다."

"너도 아직도 도를 모른다>"

또 다른 사문에게 묻자, 그는 이렇게 대답했다.

"호흡 사이에 있습니다."

"그렇다. 너는 도를 아는구나."

<사십이장경>

 

허공 중에서도 바다 가운데서도 또는 산 속의 동굴에 들어갈지라도 악업惡業의 갚음에서 벗어날

그런 세계는 어디에도 없다.

 <법구경 127>

 

초대받지 않았는데도 그는 이 세상에 왔다가 허락도 없이 이 세상을 떠나갔다.

그는 온 것과 같이 사라져갔다.   여기 어떤 한탄이 있을 것인가.                

<자타카>

 

지금까지 부자가 된 사람 많고 명성을 얻은 사람도 많다.

그러나 부와 명성과 함께 그들은 모두 어디로 갔는가.

그 누구도 그 자취를 모른다.

 <입보리행론 入菩提行論>

 

태어난 것은 죽음을 피할 길이 없다 늙으면 죽음이 온다

실로 생이 있는 자의 운명은 이런 것이다.

익은 과일은 빨리 떨어질 위험이 있다.

그와 같이 태어난 자는 죽지 않으면 안 된다

그들에게는 항상 죽음의 두려움이 있다.

 

젊은이도 장년도 어리석은 이도 지혜로운 이도 모두 죽음에는 굴복한다.

모든 사람은 반드시 죽는다.

그들은 죽음에 붙잡혀저 세상으로 가지만 아비도 그 자식을 구하지 못하고 친척도 그 친척을 구하지 못한다.

보라

친척들이 애타는 마음으로 지켜보지만 사람은 하나씩 도살장으로 끌려가는 소처럼 사라져 간다.

<숫타니파타 575~580>

 

인간은 애욕 속에서 홀로 태어났다가 홀로 죽어간다.

자신이 지은 선악의 행위에 의해 즐거움과 괴로움의 세계에 이른다.

자신이 지은 행위의 과보는 그 누구도 대신해 받을 수 없다.

착한 일을 한 사람은 좋은 곳에, 악한 짓을 저지른 사람은 나쁜 곳에 태어난다.

태어난 곳은 달라도 과보는 애당초부터 기다리고 있으므로, 그는 혼자서 과보의 늪으로 간다.

멀리 떨어진 딴 세상으로 따로 따로 가버리기 때문에 이제는 서로 만날 기약이 없다.

한번 헤어지면 그 가는 길이 서로 다르므로 다시 만나기가 어렵다.

<무량수경>

 

그대는 온 사람의 길을 모르고 또 간 사람의 길도 모른다.

그대는 생生과 사 死 양쪽을 보지 않고 부질없이 슬피 운다.

미망迷妄에 붙들려 자기를 해치고 있는 사람이 울고 불고해서

무슨 이익이라도 생긴다면 현자賢者도 그렇게 할 것이다.

근심을 버리지 않는 사람은 점점 더 고뇌를 받는다

죽은 사람 때문에 운다는 것은 근심에 사로잡힌 것이다.

 <숫타니파타 582~586>

 

부처님이 슈라비스티의 기원 정상에 계실 때, 삼대 독자를 잃어버린 한 과부가 비탄에 빠져

먹지도 자지도 않고 울기만 했다.  

하루는 부처님을 찾아와 자신의 슬픔을 하소연했다.

"세존이시여, 저는 유복자를 잃고 살아갈 용기마저 잃었습니다.

저에게 이 슬픔에서 벗어날 길을 가르쳐 주십시오."

부처님은 이렇게 말했다.

"가엾은 아주머니, 한 가지 방법이 있으니 그대로 하시오. 지금 곧 가서 아직 사람이 죽어 나간 일이

없는 일곱 집을 찾아내어 쌀 한 움큼씩을 얻어 오시오. 그런면 내가 그 슬픔에서 벗어나는

길을 가르쳐 주리다."

유복자를 잃은 그 여인은 바삐 마을로 쌀을 얻으러 나갔다.

며칠이 지난 뒤 여인은 한 움큼의 쌀도 얻지 못하고 맥이 빠져 돌아왔다.

부처님은 물었다.

"사람이 죽지 않은 집이 있던가요?"

그제야 여인은 부처님이 가르쳐준 뜻을 알아차리고 슬픔에서 벗어났다.            

<아바다나>

 

그러므로 존경하는 사람의 말씀을 듣고 죽은 사람을 보았을 때는

 '그는 이미 내 힘이 미치지 못하게 되었구나'라고 깨달아 슬퍼하거나 탄식하지 말아라.

이를테면, 집에 불이 난 것을 물로 꺼버리듯 지혜롭고 총명한 사람들은 걱정이 생겼을 때는 이내 지워버린다.

마치 바람이 솜털을 날려 버리듯이.

 <숫타니파타 590~591>

 

밀린다왕이 나가세나에게 물었다.

"사람이 죽을 때 윤회의 주체가 저 세상에 옮아감이 없이 다시 태어날 수 있습니까?"

"그렇습니다.   옮아감이 없이 다시 태어날 수 있습니다."

"어째서 그럴까요.   비유를 들어 설명해주시겠습니까?"

"어떤 사람이 등불에서 등불로 불을 붙인다고 합시다.  

이런 경우 한 등불이 딴 등불로 옮아간다고 할 수 있습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윤회의 주체도 한 몸에서 딴 몸으로 옮아감이 없이 다시 태어나는 것입니다."

 

"다시 다른 비유를 들어 설명해주십시오."

"왕은 어릴 때 스승에게서 배운 시를  기억하십니까?"

"그렇습니다.   기억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그 시는 스승에게서 왕에게로 옮겨진 것일까요?"

"아니지요.   그렇진 않습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몸은 옮김이 없이 다시 태어나는 것입니다."

"잘 알았습니다. 스님."

<밀린다왕 문경>

 

 

자신의 즐거움을 구하는 사람은

슬픔과 욕심과 걱정을 버리라

자기 번뇌의 화살을 뽑으라.

 

번뇌의 화살을 뽑아버리고

거리낌없이 마음의 평안을 얻는다면

모든 걱정을 초월해 근심 없는 자

평안에 돌아간 자가 될 것이다.

<숫타니파다 592~593>

 

자기 집 앞에서 얼굴이 아름답고 화사하게 차려 입은 여인을 보고 주인은 반기며 물었다.

"당신은 누구시지요?"

"공덕천功德天이에요."

"무슨 일을 하시나요?"

"가는 데마다 그 집에 복을 준답니다."

이 말을 들은 주인은 그 여인을 맞아들여 향을 사르고 꽃을 뿌려 공양했다.

밖을 보니 또 한 여인이 문 앞에 서 있었다.   그녀는 추한 얼굴에 남루한 누더기를 걸치고 있었다.

주인은 기분이 언짢아 퉁명스럽게 물었다.

"당신은 누구요?"

"흑암천黑暗天이라 해요."

"무슨 일로 왔고?"

"가는 데마다 그 집에 재앙을 뿌리지요."

이 말을 들은 주인은 썩 물러가라고 고함을 쳤다.   그녀가 비웃으며 말했다.

"조금 전에 당신이 맞아들인 이는 우리 언니인데, 나는 항상 언니와 같이 살아야 할 팔자랍니다.

나를 쫓아내면 우리 언니도 나를 따라올 겁니다."

주인은 공덕천 여인에게 그 사실을 물으니, 그렇다고 하면서 이렇게 대답했다.

"나를 좋아하려면 우리 동생도 함께 좋아해야 합니다.  우리는 한시도 떨어져서는 못 사니까요."

 

주인은 두 여인을 다 내쫓아버렸다.  

팔을 끼고 나란히 사라져 가는 자매의 뒷모습을 보고 그는 마음이 후련했다.

태어나면 늙어야 하고 병이 들면 죽은 법이다.  

어리석은 사람은 이 두 가지에 다 같이 집착하지만,  보살은 함께 버리고 애착하지 않는다.

<열반경 성행품>

 

올 때는 흰구름 더불어 왔고

갈 때는 밝은 달 따라서 갔네

오고 가는 한 주인은 마침내

어느 곳에 있는고.

-휴정<죽은 스님을 슬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