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3 30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9강 화엄경의 내용 -십바라밀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9강 화엄경의 내용 -십바라밀​보살의 십행은 일체유심조의 경계이므로 중생이 본성대로 사는 것이 십행이다. 그 구체적 내용이 십바라밀로 전개되고 있다.(1) 환희행(歡喜行)에서는 보시바라밀을 구족하여 중생을 즐겁게 한다. 보시행은 곧 즐거운 행이니 보살이 이 행을 닦을 때 일체 중생으로 하여금 환희하고 즐겁게 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이를 경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하고 있다.​무엇이 보살마하살의 즐거운 행인가.불자들이여, 보살이 큰 시주가 되어서 가진 것을 모두 베풀되 그 마음이 평등하여 뉘우치거나 아낌이 없으며, 과보를 바라지 않으며, 이름이 남을 구하지 않으며, 이양을 탐하지도 않는다. 다만 일체 중생을 요익되게 하며, 제불의 본래 수행하신 바를 학습하고 청정케 하며 증..

불교공부 07:42:17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8강 화엄경의 내용 -제4회 4품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8강 화엄경의 내용 -제4회 4품​제4회 4품에서는《화엄경》의 유심설과 보살의 십바라밀행에 특히 주목하게 된다.​19. 승야마천궁품​세존께서 보리수 아래와 수미산 꼭대기를 떠나지 아니하시고 야마천궁으로 향하셨다. 야마천왕이 멀리서 보고 즉시 보연화장 사자좌를 만들고 맞이하였다. 천왕은 지난 세상 부처님 계신 데서 선근 심은 것을 생각하고 불공덕과 야마천궁의 길상함을 게송으로 찬탄하였다.​​20. 야마궁중게찬품​상주안불 친혜(親慧)세계의 공덕림(功德林)보살을 위시하여 시방불세계의 수많은 보살들이 부처님 계신 곳에 모여들자, 세존께서 두 발등으로 광명을 놓아 시방세계를 비추셨다. 여기에 모여든 보살이 수풀 림(林)자가 돌림자가 된 것은 보살의 공덕행이 하나가 아니라 수없이 ..

불교공부 07:41:20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7강 화엄경의 내용 -제3회 6품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7강 화엄경의 내용 -제3회 6품​제3회 6품은 수미산정의 제석천궁전에서 법혜보살에 의하여 십주법문이 설해지고 있다. 이곳에서 주목하게 하는 점으로서는첫째, 보살의 주처이다.십주의 자리는 어디이며 십주보살행은 어떠한 것인가?둘째, 발심의 인과 연은 무엇이며,초발심시변정각의 경계는 무엇인가?셋째, 무엇이 범행인가? 화엄의 관행법이 무엇인가?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13. 승수미산정품​먼저 제3회 첫품인〈승수미산정품〉은 세존께서 보리수 아래를 떠나지 아니하시고 수미산에 오르셔서 제석천의 궁전으로 향하신 것으로 시작된다. 제석천왕이 멀리서 보고 궁전을 장엄하고 사자좌를 놓고 부처님을 맞이하였다. 부처님께서 결가부좌하시니 시방세계에서도 그와 같았다. 이는 하나가 곧 일체〔..

불교공부 07:40:00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6강 화엄경의 내용 -해인삼매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6강 화엄경의 내용 -해인삼매​〈현수품〉에는 신심이 원만 성취되면 얻어지는 신심의 공능으로서 삼매가 설해져 있다.《화엄경》의 총정인 해인삼매도 교설되어 있다.이 해인삼매는 어떠한 삼매이며, 어떻게 모든 삼매 중 으뜸인 것으로 부각되어 갔는가. 그리고 해인삼매를 얻게 되면 어떤 덕용(德用)이 있으며, 그 삼매에 들어갈 수 있는 인연은 무엇인가.〈현수품〉에는 신심이 원만 성취되면 얻어지는 신심의 공능으로서 10종 삼매〔圓明海印三昧門․華嚴妙行三昧門․因陀羅網三昧門․手出廣供三昧門․現諸法門三昧門․四攝攝生三昧門․窮同世間三昧門․毛光覺照三昧門․主伴嚴麗三昧門․寂用無涯三昧門〕가 보이며, 그 첫째로《화엄경》의 총정(總定)인 해인삼매에 대하여 교설되고 있다.석존의 깨달음은 명상을 통하여 이루어졌..

불교공부 07:38:53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5강 화엄경의 내용 -제2회 6품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5강 화엄경의 내용 -제2회 6품​제2회 6품에서는 신(信)에 대해서 교설하고 있다. 문수보살의 특수한 지혜에 의해서 우리 중생들로 하여금 신심을 성취케 해주는 법회인 것이다. 이 말씀을 만남에 있어서도 다음 몇 가지를 염두에 두게 한다.무엇을 믿는가? 믿음의 대상, 믿음의 내용이 무엇인가?어떤 의심을 떨쳐 버려야 믿음이 생기는가?어떤 의심이 있을 수 있는가?어떻게 믿음을 성취할 수 있는가?믿는 자의 태도는 어떠해야 하는가?믿으면 어떻게 되는가? 즉, 신(信)의 공용(功用)이 무엇인가?​7. 여래명호품​첫째, 무엇을 믿는가? 부처님의 신․구․의(身口意) 삼업이 한량없음을 믿게 하고 있다. 먼저 제2회의 첫품이고 전체로서는 제7품인〈여래명호품〉에서는 부처님의 신업 경계가 ..

불교공부 07:3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