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2 30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4강 화엄경의 내용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4강 화엄경의 내용 -초회 6품​초회 6품에서는 특히 다음 사항을 주목하게 한다.6성취와 그 가운데 청법대중의 특징은 무엇인가?《화엄경》의 교설인연, 달리 말해서 화엄교설의 내용이 무엇인가?설주는 교설할 수 있는 능력을 얻게 되는 삼매에 어떻게 들어가는가?연화장세계, 즉 화엄정토는 어떠한 세계이며 어떻게 성취되었는가?화엄교주인 비로자나불은 어떻게 해서 비로자나불이 되셨는가?​1. 세주묘엄품​먼저 초회 6품 중 첫품인〈세주묘엄품〉은 처음 법보리장회의 서품이면서《화엄경》전체의 서분이기도 하다. 부처님께서 법보리 도량에서 정각을 이루시자 신통력으로 도량에는 모든 장엄이 조화되어 빛났다.보현보살을 위시한 보살대중과 집금강신을 비롯한 39류 화엄성중 등 총 40중이 권속들과 함께 ..

불교공부 06:40:45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3강 화엄경의 구성 조직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3강 화엄경의 구성 조직​1. 경의 구성과 회처의 상징​《화엄경》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화엄경》의 구성 조직을《팔십화엄》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하겠다.《팔십화엄》의 구성 조직을 도시하면 다음〈표 1〉과 같다.​〈표 1〉《팔십화엄》(7처 9회 39품의 설주와 교설내용)여기서 처(處)란 이 경을 설한 장소를, 그리고 회(會)란 경을 설한 모임을 말한다. 경의 설처는 지상에 세 곳이고 천상에 네 곳이며, 보광법당에서는 세 번 설해지고 있으므로 7처 9회이다. 현재 사찰에서 즐겨 독송하는〈화엄경약찬게〉에도《팔십화엄》의 구조가 약술되어 있다. 그 가운데 '육육육사급여삼 일십일일역부일(六六六四及與三 一十一一亦復一)'이라 함은 바로 39품을 9회에 배대한 내용이다. 다시 말해서..

불교공부 06:39:30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제2강 화엄경의 편찬과 유통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제2강 화엄경의 편찬과 유통​1. 인도․서역의 화엄경 편찬​《화엄경》은 화엄부의 대표적인 경전으로서 '대방광불화엄경'의 준말이다.《화엄경》의 원 범명은 알 수 없으니 원본인 범본이 Dasabhumika(다사부미카)라고 불리는〈십지품〉과 Gandavyuha(간다뷰하)라고 불리는〈입법계품〉외에는 전해지지 않기 때문이다.그래서 화엄의 제목에 대해서는 현재 크게 세 가지로 재번역되고 있다. 즉 Maha-Vaipulya-Buddha-Ga a-Vy ha S tra(마하 바이풀리야 붓다 간다 뷰하 수트라, 대방광불화엄경), Buddh vata saka(붓다바탐사카, 불화엄경), Avata saka S tra(아바탐사카 수트라, 화엄경) 등이다.현재 유통되고 있는 경의 한역본으로는 60권․..

불교공부 06:38:48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제1강 화엄학의 범주와 사상 개요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제1강 화엄학의 범주와 사상 개요 2. 화엄사상의 개요​1) 경의 사상을 이해하는 방법​경의 사상을 이해하는 데 사용된 몇 가지 방법을 먼저 보기로 한다. 우선 경전 이해의 전통적인 방법은 경의 제목을 통해서 그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다.청량징관(738~839)의《화엄현담》에서는 '대방광불화엄경' 7자에 각각 10가지씩 의미를 붙여서 총 70가지로《화엄경》의 제목을 설명하고 있다.《화엄경》은 '대방광불화엄(大方廣佛華嚴)'을 설하는 경이니, 경을 능전(能詮)이라 하고 대방광불화엄을 경에 담긴 내용, 즉 소전(所詮)이라고 한다. 다시 말해서《화엄경》은 대방광하신 부처님의 세계를 보살의 갖가지 만행화로써 장엄함을 설하고 있는 경인 것이다.우리나라에서는 또 경의 내용을 통틀어서 그 대..

불교공부 06:35:18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제1강 화엄학의 범주와 사상 개요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1강 화엄학의 범주와 사상 개요 1. 화엄학의 범주​화엄사상을 담고 있는《화엄경》은 한국불교의 수행과 신앙형태에 크나큰 영향을 끼친 대표적인 경이다. 불교의식에도 화엄사상이 무르녹아 있다. 특히 한국선의 이해는 화엄사상의 공부 없이는 완전하지 못할 정도이다. 지금도《화엄경》은 불교전문강원인 승가대학에서 이력과정의 마지막 대교과에서 배우는 과목이다. 아무튼 불교, 특히 한국불교에서 차지하는《화엄경》의 위상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아니하리라 본다.'화엄사상의 세계'에서 앞으로 다루게 될 화엄학의 범주는 대강 다섯 분야로 나누어 볼 수 있다.화엄사상은《화엄경》의 중심사상이다. 《화엄경》에서는 우리 존재를 어떻게 파악하며 우리로 하여금 어떻게 살도록 교설하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불교공부 06:3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