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 안견, 1447년(세종 29), 비단 바탕에 먹과 채색, 106.5×38
蜀葵花(촉규화) - 최치원(崔致遠)
접시꽃
寂寞荒田側
적막황전측
적막하여라 묵정밭 가까운 곳에
繁花壓柔枝
번화압유지
여린 가지 무겁게 다닥다닥 핀 꽃
香經梅雨歇
향경매우헐
향기는 매우를 거쳐 시들해지고
影帶麥風欹
영대맥풍의
그림자는 맥풍을 띠고서 기우뚱
車馬誰見賞
거마수견상
거마를 타신 어느 분이 감상 하리오
蜂蝶徒相窺
봉접도상규
저 벌과 나비만 와서 엿볼 따름
自慙生地賤
자참생지천
출신이 천해서 스스로 부끄러워하는 터에
堪恨人棄遺
감한인기유
사람의 버림받는다고 원망을 또 하리오
荒田(황전) : 거두지 아니하여 거칠어진 논밭.
梅雨(매우) : 매실이 누렇게 익을 무렵 내리는 비.
초여름부터 시작되는 장맛비. 이 기간 동안에는 공기가
음습하여 곰팡이가 쉽게 슬기 때문에 매우(霉雨)라고도 한다.
麥風(맥풍) : 보리 익는 계절, 즉 맥추(麥秋)에 불어오는
바람. 맥신(麥信)이라고도 한다.
'고전 한시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過西都1(과서도1) - 四溟大師(사명대사) (0) | 2025.02.09 |
---|---|
花雨(화우)-休靜(서산대사 1520~1604)-꽃 비 (0) | 2025.02.07 |
過鳳城聞午鷄 - 서산대사-봉황성을 지나다 닭울음소리를 듣고 (0) | 2025.02.07 |
古意 고의 - 서산대사-옛 사찰을 지나며 (0) | 2025.02.07 |
詠半月(영반월 : 반달) - 황진이(黃眞伊) (0)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