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5 30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14강 화엄경의 내용-여래출현․제8회 이세간품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14강 화엄경의 내용-여래출현․제8회 이세간품여래출현의 10종법 가운데 이어서 네번째 여래심부터 살펴보기로 한다.​(4) 여래심여래심은 바로 여래성기심으로서 여래출현에 있어서 특히 중요시되어온 교설 부분이다. 이 역시 10종심이 있음을 보이며 이 마음은 지혜와 같이 쓰이고 있다. 여래의 마음을 모두 볼 수는 없으나 다만 지혜가 한량없음을 알아야 한다고 한다.여래의 마음 또한 10가지로 교설되어 있는데 그 첫째는 여래의 지혜는 의지가 없다는 것이다.​마치 허공이 모든 물건의 의지가 되지만 허공은 의지한 데가 없으니, 여래의 지혜도 그와 같아서 모든 세간지와 출세간지의 의지가 되지만 여래의 지혜는 의지한 데가 없다.​이렇게 비유로 여래의 지혜를 차례로 설하고 있다.그 중에 ..

불교공부 2025.02.15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13강 화엄경의 내용-제7회 11품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13강 화엄경의 내용-제7회 11품 제7회 11품에서는 십지보살행을 지나 깨달음의 경계를 펼쳐 보이고 있다.《화엄경》에 보이는 깨달음은 등각과 묘각을 시설해 놓은 것으로 파악된다. 마지막의〈여래출현품〉과 제8회 설법의〈이세간품〉이 묘각의 경계이고 그 이전은 등각의 경계이다. 보살인행을 거쳐 과위로서의 단계를 등각이라고 한다면, 인행에 상대한 과위가 아니라 부처님의 본래의 깨달음의 세계를 묘각이라 한다.보살이 깨달음을 얻으면 나타나는 경계는 품명에서 그 내용을 대체로 짐작할 수 있다.​​27. 십정품​10가지 삼매를 설하고 있다. 삼매에 의해서 보살이 모든 세계에 두루 들어가되 세계에 집착하지 아니하며, 모든 중생계에 두루 들어가되 중생에 취하는 것이 없다.​​28. 십통..

불교공부 2025.02.15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12강 화엄경의 내용 -십지보살행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12강 화엄경의 내용 -십지보살행​(4) 염혜지(焰慧地)염혜지는 삼십칠조도품(三十七助道品)을 닦고 동사섭(同事攝)과 정진바라밀로 지혜가 매우 치성하는 지위이다. 보살이 이 염혜지에 머물면, 지혜로써 여래의 가문에 태어난다. 삼십칠조도품은 다음과 같다.사념처(四念處):관신부정(觀身不淨)․관수시고(觀受是苦)․관심무상(觀心無常)․관법무아(觀法無我)사정근(四正勤 혹은 四正斷):이생악령단(已生惡令斷)․미생악령불생(未生惡令不生)․이생선령증장(已生善令增長)․미생선령생(未生善令生)사여의족(四如意足, 四神足):욕(欲)․정진(精進)․심(心)․사유(思惟)오근(五根):신(信)․진(進)․염(念)․정(定)․혜(慧)오력(五力):신(信)․진(進)․염(念)․정(定)․혜(慧)칠각분(七覺分):택법(擇法)..

불교공부 2025.02.15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11강 화엄경의 내용 -제6회 십지품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11강 화엄경의 내용 -제6회 십지품​제6회는 십지법문을 설하는〈십지품〉한 품이다. 따라서 이〈십지품〉은 다른 회에서 설법좌가 마련되는 부분까지〈십지품〉내에 함께 교설되어 있다.​​26. 십지품​십지사상은 인도 대승불교사상사의 전개과정에서 뺄 수 없는 주맥이 되고 있는 사상이 아닌가 여겨지고도 있다.십지사상이 마하바스투의 십지에서《대품반야경》의 십지로, 이것이 다시《보살본업경》의 십지를 거쳐《십지경》의 십지로 완성되며, 그것이 유가행자에 의해 보살행으로 실천화되는 것으로 전개한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십지사상을 본생십지․반야십지․본업십지․화엄십지․유가행십지로 크게 나누어 보기도 한다.《화엄경》의〈십지품〉에서는 앞에서 제3회 4회 5회 등에서 살펴본 십주와 십행과 십회향..

불교공부 2025.02.15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10강 화엄경의 내용 -제5회 3품제5회의 주요 내용은 10회향법문이다.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10강 화엄경의 내용 -제5회 3품제5회의 주요 내용은 10회향법문이다.​23. 승도솔천궁품​세존께서는 다시 위신력으로 보리수 아래 내지 야마천궁을 떠나지 않고서 도솔천으로 향하셨고, 도솔천왕에 의해 설법처가 마련되었다.​​24. 도솔궁중게찬품​부처님의 위신력으로 금강당보살을 위시하여 당(幢)자가 돌림자인 견고당․용맹당․광명당․지당․보당․정진당․이구당․성수당․법당보살 등 10보살들이 수많은 보살들과 함께 부처님 계신 데 이르렀다. 이 제5회의 설주는 금강당보살이니 금강은 지혜를, 당은 지혜를 바탕으로 한 자비의 기치를 말한다.그때 세존께서 두 무릎으로 광명을 놓아 시방법계를 두루 비추며 신통을 나투셨다. 10대보살이 차례로 게송으로 부처님 세계를 찬탄하였다. 아래 게송은..

불교공부 2025.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