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공부 3595

보살계의 근본취지[受菩薩戒法序] 강의 6

보살계의 근본취지[受菩薩戒法序] 강의 6 若有志心하면 受者聞者가 法利無邊하야 七辯贊之莫窮이며 千聖仰之無際니 可謂真佛之母라 生諸導師며 妙藥之王이라 能治眾病이라 入道之要가 靡越於斯矣니라 만약 뜻이 있으면 보살계를 받는 사람과 보살계를 듣는 사람이 계법의 이익이 끝이 없어서 일곱 가지 뛰어난 변재로도 다 찬탄할 수 없으며 일천 성인이 우러러 보아도 다하지 못하리라. 가위 참다운 부처님의 어머니로다. 무수한 도사를 출생하며 신묘한 약 중에서도 왕이라. 능히 모든 병을 치료하나니 도에 들어가는 요긴함이 이 보살계를 넘어가는 것은 없으리라. 해설 ; 사람이 부처님이요, 사람 마음이 부처님이요, “부처님의 계가 무엇인지 알고자 하는가. 그것은 곧 중생들의 마음이니라. 달리 다른 법이 없느니라.”라는 사실을 안다면 보..

불교공부 2025.02.19

보살계의 근본취지[受菩薩戒法序] 강의 5

보살계의 근본취지[受菩薩戒法序] 강의 5 聞者多生遮障하고 見者咸起狐疑는 以垢深福薄故라 是盲者不見이요 非日月咎니라그러나 보살계를 듣는 사람들이 장애를 일으키고 보살계를 보는 사람들이 모두 의심을 일으키는 것은 번뇌가 깊고 복이 없어서이니라. 마치 눈이 먼 사람이 아무 것도 보지 못하지만 태양이나 달의 잘못이 아닌 것과 같으니라. 해설 ; 보살계를 설하는 사람도 많고 보살계를 받는 사람도 많은데 바르게 이해해 들어가지 못하는 것은 왜 그런가? 복이 없어서라고 하였다. 복이라는 말을 불교에서는 대단히 좋아하는 말이다 .불교인뿐만 아니라 실은 모든 사람들이 다 좋아하는 말이다.  벼슬이 높은 사람도 복이 많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재산이 많은 사람도 복이 많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명예가 높은 사람도 복이 많기 ..

불교공부 2025.02.19

보살계의 근본취지[受菩薩戒法序] 강의 4

보살계의 근본취지[受菩薩戒法序] 강의 4 以覺自心故로 名為佛이요 以可軌持故로 名為法이요 以心性和合不二故로 名為僧이요 以心性圓淨故로 名為戒요 以寂而照故로 名為般若요 以心本寂滅故로 名為涅槃이니라 此是如來最上之乘이며 祖師西來之意라 자신의 마음임을 깨달으므로 부처요, 마음의 원리대로 유지되므로 법이요, 마음이 모든 존재와 화합하여 하나가 되므로 스님이요, 마음이 원만하게 청정하므로 계요, 마음이 고요하면서 살피는 까닭에 반야지혜요, 마음이 본래 적멸하므로 열반이니라. 이것이 여래의 가장 높은 법이며 조사가 서쪽에서 오신 뜻이니라. 해설 ; 영명연수선사는 이 단락에서 불법승 삼보와 계와 반야와 열반과 여래와 조사라는 불교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들을 한마음으로 설명하고 있다. 아니 마음을 지닌 사람으로 설명하고 있다..

불교공부 2025.02.19

보살계의 근본취지[受菩薩戒法序] 강의 3

보살계의 근본취지[受菩薩戒法序] 강의 3 欲知佛戒者이면 但是眾生心이요 更無別法이니라부처님의 계가 무엇인지 알고자 하는가. 그것은 곧 중생들의 마음이니라. 달리 다른 법이 없느니라. 해설 ; 앞에서 “중생이 부처님의 계를 받으면 곧 모든 부처님의 지위에 오른다.” 라고 하였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부처님의 계가 무엇인지 알고자 하는가. 그것은 곧 중생들의 마음이니라. 달리 다른 법이 없느니라.”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보살계, 즉 부처님의 계란 곧 사람 사람들의 마음을 가리킨 것이요 다른 것이 아니다. 사람으로서 마음이 없는 사람은 없다. 불교인이든 기독교인이든 유교인이든 비종교인이든 저 아프리카의 오지에 사는 사람까지도, 동서고금 남녀노소 어느 누구를 막론하고 사람은 다 마음이 있다.  심지어 불교를 비방..

불교공부 2025.02.19

보살계의 근본취지[受菩薩戒法序] 강의 2

보살계의 근본취지[受菩薩戒法序] 강의 2 梵網經云 眾生受佛戒하면 即入諸佛位라하니라범망경에 말씀하시기를 “중생이 부처님의 계를 받으면 곧 모든 부처님의 지위에 오른다.” 라고 하였다. 해설 ; 범망경(梵網經)은 화엄부에 속하는 경전이다. 상, 하 두 권으로 되어 있는데 상권은 화엄경의 이치와 마찬가지로 일심사상을 주로 언급하였고 하권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10중대계(重大戒)와 48경구계(輕垢戒)인 보살계(菩薩戒) 조항을 서술하였다. 보살계산림을 할 때는 반드시 이 하권의 10중 48계를 설하고 그 58조목의 계를 받아서 지키겠다고 서원하는 것이다. 10중대계란 열 가지 무겁고 소중한 계를 말하는 것이고 48경구계란 가벼운 계율이다. 보살계도 결국은 모든 사람들이 본래로 부처님이라는 사실을 일깨워 주고 ..

불교공부 2025.02.19

보살계의 근본취지[受菩薩戒法序] 강의 1

보살계의 근본취지[受菩薩戒法序] 강의 1 해설 ; 영명연수(永明延壽,904-975)선사는 불자로서 보살계법을 받는 수행에 대한 근본 뜻과 공덕과 보살계의 위대함을 이 서문을 통하여 잘 밝히고 있다. 영명연수선사는 중국 송나라 때의 스님이다. 자는 중원(仲元), 속성은 왕(王)씨이다. 904년 중국 여항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불법에 뜻을 두어 오신채를 먹지 않았으며, 20세부터는 하루 한 끼를 먹으며 묘법연화경을 읽었다. 28세 때 화정진장(華亭鎭將)이라는 관리에 등용되었으나 백성들로부터 거둔 세금을 모두 방생에 사용해 체포되었다. 문목왕(文穆王)은 그의 뜻이 출가에 있음을 알고 출가를 허락하여 불문에 들어섰다. 31세에 취엄(翠嚴)스님에게 출가하여 수행을 시작한 뒤 천태 덕소의 제자가 되어 법을 이었다...

불교공부 2025.02.17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18강 화엄경의 연구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18강 화엄경의 연구​1. 화엄오조의 생애와 저서《화엄경》을 연구하여 저술을 하고 화엄교학을 일구어 간 분들은 화엄종조들이 주를 이룬다. 화엄조사들은《화엄경》의 주석 외에도 화엄사상의 선양에 기여한 많은 전적을 남겼다. 그 가운데서 5조의 주요저술을 그 생애와 함께 간단히 소개하기로 한다. 이러한 화엄관계 저술은 화엄교학을 이해하는 주요자료가 된다.​(1) 법순두순(法順杜順, 557~640) - 화엄행자두순의 휘는 법순이며 제심(帝心)존자라고도 한다. 속성은 두(杜)씨이고 옹주 만년현 출신으로서 18세 때 인성사의 승진(僧珍)에게 출가하였다. 승진은 산야에 살며 청빈하게 정업을 닦은 수행자로 알려져 있다. 두순도 스승과 함께 전국을 다니며 미타염불을 권유하고 정토를 찬탄..

불교공부 2025.02.17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17강 화엄경의 중국 전래와 연구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17강 화엄경의 중국 전래와 연구​이제부터는 중국과 한국에서 체계화된 화엄사상을 그 교사부분과 함께 살펴보자. 우선《화엄경》의 중국 전래와 화엄경 연구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1. 화엄경의 전래와 번역​《화엄경》의 편찬과《화엄경》을 소의로 한 교학적 체계의 성립과는 사뭇 다르다.《화엄경》은 인도에서 이루어졌으나 화엄교학은 중국과 한국 등에서 체계화되었으니, 곧 화엄종의 성립에 의해서이다.처음 중국의 화엄교학 형성에 기반이 되었던 것은《육십화엄》이다. 이《육십화엄》의 범본을 중국에 전래한 이는 월지국의 지법령이다. 그는 우전에서 3만 6천게의 범본을 구하여 장안으로 들어왔던 것이다. 법령은 계빈국 삼장 불타발타라〔覺賢〕를 만나《화엄경》을 중국말로 번역해 줄 것을 요청하..

불교공부 2025.02.17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16강 화엄경의 내용-보현행원품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16강 화엄경의 내용-보현행원품​지금까지《팔십화엄》의 전체 구성과 그 내용을 대강 살펴보았다. 이제《팔십화엄》에는 없으나 우리 주변에〈보현행원품〉으로 널리 지송되는 보현보살의 10종 대원 부분을 잠깐 살펴보겠다.〈보현행원품〉이란〈입법계품〉전체를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나 좁게는《사십화엄》에만 있는 보현보살의 10종 행원 부분만 일컫기도 한다.이 보현보살의 10종 행원은 40권《화엄경》의 제40권에서 보현보살에 의해 설해지고 있다.​보현보살이 부처님의 수승한 공덕을 찬탄하고 나서 모든 보살과 선재동자에게 말씀하였다.선남자여, 여래의 공덕은 가령 시방에 계시는 일체 모든 부처님께서 불가설불가설 불찰극미진수 겁을 지내면서 계속 말씀하시더라도 다 말씀하지 못하시느니라. 만약 이러한..

불교공부 2025.02.17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15강 화엄경의 내용-제9회 입법계품

화엄경(華嚴經) 해설(解說)-  제15강 화엄경의 내용-제9회 입법계품​제9회 역시 한 품인〈입법계품〉으로 이루어져 있다.〈입법계품〉은《화엄경》의 마지막 품으로서 품수는 39품 중 한 품이지만, 그 분량은 권수(62~80)로나 페이지수(대정장 10, pp. 331~446)로 볼 때 총《화엄경》분량 중 약 4분의 1에 해당되는 방대한 양이다.〈입법계품〉의 별행경은 다른 대부분의 화엄부 경전보다 일찍 성립된 품이다. 그런데 그 내용은 선재동자의 구법을 통해 전편의 내용이 재현되는 형식이 취해지고 있다. 문수보살에게서 발심한 선재동자가 보살의 가르침대로 선지식을 역참하여 보살도를 배우고, 보현보살의 원과 행을 성취함으로써 법계에 들어간다는 줄거리이다. 선재의 구법 여정이나 선지식의 해탈법문은 화엄의 보살도를 ..

불교공부 2025.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