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두란?
"화두"란
참선 공부하는 분들이 일심으로 의심을 가지고 연구하는 "문제"를 말하며,
도를 깨달은 선지식 스님의 공부하는 사람에게 내려주는 "문제"를 말한다.
도를 깨달은 선지식 스님의 공부하는 사람에게 내려주는 "문제"로써 여기에 대하여
큰 의심이 일어나서 오로지 그 문제만을 생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조사의 공안이라고 하는데 불교의 선종에서 행하는 유일한 수행방법이다.
이러한 공안(화두)의 종류가 무려 수백개 이상 있다.
누구든지 이중에서 한 가지 문제를 선택 받아 스스로 그 답을 깨우치면 부처가 된다고 하셨다
&
&
&
공안(公案)·고칙(古則)이라고도 한다. 화두의 ‘화(話)’는 말이라는 뜻이고,
‘두(頭)’는 머리, 즉 앞서 간다는 뜻이다.
따라서 화두는 말보다 앞서 가는 것, 언어 이전의 소식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따라서 참된 도를 밝힌 말 이전의 서두, 언어 이전의 소식이 화두이며, 언어 이전의 내 마음을
스스로 잡는 방법을 일러 화두법(話頭法)이라고 한다.
공안이라고 할 때의 ‘공(公)’은 ‘공중(公衆), 누구든지’라는 뜻이고, ‘안(案)’은 방안이라는 뜻이다.
누구든지 이대로만 하면 성불할 수 있는 방안이 된다는 뜻을 담고 있다.
불교 선종(禪宗)의 조사들이 만들어 낸 화두의 종류로는 1,700여 종류가 있다.
이 가운데 우리 나라 참선수행자들이 널리 채택하여 참구한 화두는 ‘개에게는 불성이 없다
(狗子無佛性)’, ‘이 무엇고?(是甚麽)’, ‘뜰 앞의 잣나무(庭前栢樹子)’, ‘삼 서근(麻三斤)’,
‘마른 똥막대기(乾尿橛)’ 등이다.
‘구자무불성’은 무자화두(無字話頭)라고도 하는데, 우리 나라의 고승들이 이 화두를
참구하고 가장 많이 도를 깨달았다고 한다.
한 승려가 조주(趙州)스님을 찾아가서 “개에게도 불성이 있는가?”를 물었을 때 “무(無)”라고
답하여 이 화두가 생겨났다. 부처님은 일체 중생에게 틀림없이 불성이 있다고 하였는데,
조주스님은 왜 없다고 하였는가를 의심하는 것이 무자화두법이다.
‘이 무엇고?’ 화두는 이 몸을 움직이게 하는 참된 주인공이 무엇인가를 의심하는 것으로,
무자화두 다음으로 널리 채택되었다. 또한, ‘뜰 앞의 잣나무’는 어떤 승려가 조주스님에게
“조사가 서쪽에서 온 뜻(祖師西來意)이 무엇인가?” 하고 물었을 때 답한 말이다.
‘삼 서근’은 “어떤 것이 부처인가?” 하는 물음에 대하여 운문종(雲門宗)의 수초선사
(守初禪師)가 답한 말이며, ‘마른 똥막대기’는 “어떤 것이 부처입니까?” 하는 물음에
대하여 문언선사(文偃禪師)가 답한 말이다.
이와 같이 화두는 일반적인 상식을 뛰어넘고 있는 문답에 대하여 의문을 일으켜 그 해답을
구하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이 화두를 가지고 공부를 할 때는 간절한 마음으로 공부하기를
마치 닭이 알을 품은 것과 같이 하며, 고양이가 쥐를 잡을 때와 같이 하며, 어린아이가 엄마를
생각하듯 하면 반드시 화두에 대한 의심을 풀어 깨달음을 얻을 수 있게 된다고 보고 있다.
이에 대하여 조선 중기의 고승 휴정(休靜)은 그의 ≪선가귀감 禪家龜鑑≫에서 “닭이 알을 안을
때에는 더운 기운이 늘 지속되고 있으며, 고양이가 쥐를 잡을 때에는 마음과 눈이 움직이지 않게
되고, 주린 때 밥 생각하는 것이나 목 마를 때 물 생각하는 것이나 어린아이가 엄마를
생각하는 것은 모두가 진심에서 우러난 것이고 억지로 지어서 내는 마음이 아니므로
간절한 것이다.
참선하는 데 있어 이렇듯 간절한 마음이 없이 깨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라고 하였다.
또, 현대의 고승 일타선사(日陀禪師)는
“화두를 드는 법에는 특별한 요령이 없다. 일념으로 간절히 참구하는 방법 외에는 별다른
요령이 없다. ‘간절 절(切)’이야말로 화두를 드는 데 있어 가장 요긴한 것이다.
간절한 일념으로 크게 의심해 나가는 것이 화두법의 가장 요긴한 점이요, 크게 의심하는
가운데 대오(大悟)가 있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일반인들이 조사의 1,700여 가지 화두 가운데 한 가지를 취하여 참선해 보면 쉽게
화두에 집중하지 못한다.
화두는 자꾸 달아나고 번뇌망상이 자꾸 스며들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화두에 대하여
집중이 되지 않고 의심이 일어나지 않는 사람들을 위하여 입으로 화두를 외우는
송화두법(誦話頭法)을 권하기도 한다.
입으로 계속해서 송화두를 하다 보면 굳이 입으로 하지 않아도 화두가 목구멍 속에서
저절로 나오는 염화두(念話頭)로 바뀌게 되고, 그것을 놓치지 않고 계속하게 되면 일을 하거나
말을 하면서도 화두가 또렷하게 들리는 간화두(看話頭)가 이루어진다.
간화두가 되었을 때 거듭 대용맹심을 불러일으키면 참의심[眞疑]이 생겨나서 산을 보아도
산이 아니고 물을 보아도 물이 아닌 대무심(大無心)의 경지에 들게 되는데,
이때의 화두를 참화두(參話頭)라고 한다.
이러한 경지에 이르게 되면 며칠이 지나지 않아 도를 깨치게 된다고 한다.
즉, 화두가 또렷하게 잡혀서 놓아지지 않는 경지, 밤이나 낮이나 잠을 자나 꿈을 꾸나 항상
참화두가 되는 경지에 이르면 7일을 넘기지 않고 확철대오(廓徹大悟:확연히 꿰뚫어
크게 깨우침)하게 된다.
'불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성제(四聖諸)와 삼법인 (0) | 2024.11.19 |
---|---|
기초교리 (0) | 2024.11.19 |
49제를 지내는 이유 (0) | 2024.11.19 |
불상을 구분하는 법 (1) | 2024.11.19 |
부처님의 열 가지 명호(여래십호) (0) | 2024.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