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신삼굴(藏身三窟)藏巧於拙장교어졸교묘한 재주를 졸렬함으로 감추고用晦而明용회이명 지혜를 숨기고도 명찰을 잃지 않으며 寓淸于濁 우청우탁 청렴함을 지키면서도 혼탁함에 몸을 맡기고 굽힘으로써몸을 펴는 것以屈爲伸 이굴위신굽힙으로써 몸을 펴는것 眞涉世之一壺 진섭세지일호이것은 진정 세상을 살아가는 안전한 길이요 藏身之三窟也장신지삼굴야몸을 감추는데 필요한 은신처가 될 것이다☞≪채근담(菜根譚)≫- 삼굴(三窟): ≪전국책(戰國策)≫에 나오는 '교토삼굴'(狡兎三窟)에서 유래한 말이다. 교활한 토끼는 세 개의 굴을 파놓아 온전히 목숨을 보존한다는 뜻이다. 같은 표현이지만 교토삼혈(狡兎三穴)이라는 말도 쓰인다.碁有別智 기유별지 바둑의 지혜는 따로 있고 酒有別腸 주유별장술 먹는 데에도 별도의 장(腸)이 있지狡兎三穴교토삼혈교활한..